2024 IJCAI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 이상민

기타
작성자
SangMin Lee
작성일
2024-12-02 10:57
조회
188
2024년 8월 2일부터 5일까지 인공지능 국제 학회인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IJCAI) 2024”에 참석하였습니다. 특히 국제 학회이지만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열렸습니다. 또한 Main conference paper를 제출하진 못했지만, FinNLP-AgentScen 이라는 Workshop에 논문이 accepted 되어 다녀왔습니다. 석사 기간 중에 국제 학회를 꼭 가고 싶다는 소망이 있었는데, 이루게 되어 너무 좋았고 다음에는 Main Conference에 논문이 accepted 되어 다녀오고 싶다는 꿈이 생기는 경험이었습니다.

[워크샵 구두 발표 후기]

저는 FinNLP-AgentScen workshop에 참여하여 "FINALE : Finance Domain Instruction-Tuning Dataset with High-Quality Rationales via Chain-of-Thought Prompting"이라는 주제로 구두 발표를 진행하였습니다. 학회 발표 전 중요 포인트와 예상 질문 리스트를 만들어 준비했습니다.  가장 중요했던 것은 금융 도메인에서 Answer에 대해 좋은 Rationale이 무엇인지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또한 Human evaluation을 진행하는 것에 대해서 측정해야 하는 다른 Aspect는 무엇이 있는지 답변하는 것이었습니다.

발표를 진행하면서는 두 가지에 대해 신경을 많이 썼습니다. 첫 번째는 영어 발음을 가장 많이 신경 쓰면서 전달을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아무래도 영어 발음이 이상하면 내 연구에 대한 내용이 온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부분을 많이 신경썼습니다. 두 번째는 발표 장표에 대해 직관적으로 구성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연구를 처음 듣는 사람은 내용에 대해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장표만 봐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발표를 마치고 질의응답을 진행했는데, 새로운 관점을 많이 배웠습니다. 특히 생성문에 대한 이해도를 여러 aspect로 나눠서 평가하는 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을 받았었습니다. 연구 진행하면서 많이 생각했던 부분이었기에 답변은 잘했지만, 한편으로는 해당 부분이 연구적으로 많이 발전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답변에 대한 좋은 근거는 무엇이고, 사람의 이해도는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지 좀 더 세분화된 기준과 명확한 개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금융 도메인에서 답변 생성 근거를 여러 단계 및 세부 문항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하면 어떨까 고민하는 포인트였습니다.

[국제 학회 참석 후기]

국제 학회의 명성 답게, 제가 참여한 학회 중 가장 규모가 컸으며 다양한 주제들이 열렸습니다. 특히 Safety Workshop에서 Best paper를 받은 “Hyper-parameter Tuning for Adversarially Robust Models“라는 논문이 인상 깊었습니다. 먼저 요즘 AI에서 Safety라는 안전성과 윤리에 대한 연구들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단순히 성능에 초점을 맞추거나, 모델을 경량화 하는 것이 아닌 정말 AI 모델을 쓰는 사용자 관점에서 안전하고 무해한지 측정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입니다. 논문에서 주요하게 다뤄지고 있는 내용은 단순히 하이퍼 파라미터를 찾는 것이 아니라, 강건한 모델을 위해 Clean input과 Adversarial input 설정에서 복잡성이 악화 된다는 문제점을 파고 들어 해결해나가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특히 input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실험을 한 부분도 연구의 유효성에 대해 많이 입증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오후에는 포스터 세션 및 다 Workshop의 발표를 들으며 우수한 연구와 기술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특히, Human Brain and Artifical Intelligence Workshop에서 ”Are EEG-to-Text Models Working?“ 이라는 논문이 인상 깊었습니다.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teacher forcing의 문제점을 강하게 비판하며, 해결 방법을 제시하는 흐름이 매끄러웠습니다. 기존 연구를 단순히 따라가는 것이 아닌 비판적인 사고로 끊임없이 파고드는 것의 중요성을 느끼는 논문이었습니다. 좋은 연구라는 기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문제를 명확히 인식하는 것은 보편적인 진리라고 생각되는 부분이었습니다. 그리고 발표 중간마다 coffee break time을 가지면서 네트워킹을 했었는데, 이 점도 학회에 매력이자 비슷한 꿈을 가지는 사람들끼리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학회를 진행하면서 자연어처리 및 AI에서 다양한 연구를 접하면서 좋은 생각들을 많이 전해 듣고, 많은 우수한 연구자들과 네트워킹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좋았던 부분은 비슷한 꿈을 가지는 사람들끼리 한 공간에 모여서, 서로의 연구를 논의하고 타인의 연구에 대해 감명 받는 것이 정말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연구실이나 회사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내 꿈이 무엇인지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정말 이게 내가 하고 싶은 연구가 맞는지, 이런 방향을 추구하고 설계하는지 의문을 품게 되는 순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학회에서만큼은 내 연구를 다른 사람들에게 표현하고 알리면서, 내가 어떤 사람인지 가장 효과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가장 많이 느낀 것은 단순히 실적을 위해서 논문을 제출하고 취업을 하기 위해서 회사가 원하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정말 어떤 것을 추구하는 사람인지 이번 학회를 통해서 많이 느낀 것 같습니다. 또한 IJCAI 학회 경험을 통해 학계 및 세상에 좋은 영향을 주는 유익한 연구를 수행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학회에서 배우고 들었던 좋은 생각들과 꿈들을 다시 연구실에 가서도 마음 속에 간직하면서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학회를 통해 얻은 긍정적인 자극을 바탕으로 세상에 유익한 연구를 하는 연구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국제 학회 참여를 통해 외부 연구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만들어주신 지도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이상으로 2024  IJCAI 후기를 마칩니다.
전체 0

전체 322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22
2025 ICLR
Hun Im | 2025.05.02 | 추천 0 | 조회 30
Hun Im 2025.05.02 0 30
321
2025 ICLR - 박진우
Jinwoo Park | 2025.04.28 | 추천 0 | 조회 53
Jinwoo Park 2025.04.28 0 53
320
2024 NeurIPS - 김재희
Jaehee Kim | 2024.12.20 | 추천 0 | 조회 383
Jaehee Kim 2024.12.20 0 383
319
2024 NeurIPS - 박진우
Jinwoo Park | 2024.12.19 | 추천 0 | 조회 243
Jinwoo Park 2024.12.19 0 243
318
2024 Neurips - 임훈
관리자 | 2024.12.18 | 추천 0 | 조회 267
관리자 2024.12.18 0 267
317
2024 ACL - 김재희
Jaehee Kim | 2024.12.09 | 추천 0 | 조회 166
Jaehee Kim 2024.12.09 0 166
316
2024 CVPR - 정기윤
Kiyoon Jeong | 2024.12.03 | 추천 0 | 조회 168
Kiyoon Jeong 2024.12.03 0 168
315
2024 KDD - 강형원
Hyeongwon Kang | 2024.12.02 | 추천 0 | 조회 161
Hyeongwon Kang 2024.12.02 0 161
314
2024 KDD - 김도윤
Doyoon Kim | 2024.12.02 | 추천 0 | 조회 174
Doyoon Kim 2024.12.02 0 174
313
2024 CVPR - 이우준
Woojun Lee | 2024.12.02 | 추천 0 | 조회 163
Woojun Lee 2024.12.02 0 163

Data Science & Business Analytics Lab.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Contact Us

  • 강필성 교수 (pilsung_kang@snu.ac.kr)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9동 301호 
  • 대학원 연구실 (총무 허재혁 : jaehyuk.heo@snu.ac.kr)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9동 411호